" /> 글로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4주차 - C# 자료형과 변수, 형 변환, 그리고 상수 | BlackWerf's Blog
포스트

글로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4주차 - C# 자료형과 변수, 형 변환, 그리고 상수

자료형

프로그램에서 자료를 저장하는 형식

자료형의 종류

기본 자료형

  • 정수 : int

  • 문자 : char
    • ‘a’와 같이 하나의 단어만 저장 가능
  • 문자열 : string
    • char와 달리 ‘abc’와 같이 여러 문자를 저장 가능
  • 소수: double, float
    • double이 소수 부분 더 크게 저장 가능
    • float는 값 선언시 f를 사용해야 함
    • double은 접미사가 없거나 d를 사용
  • 논리 데이터: bool
    • true나 false 둘 중 하나의 값을 가짐


사용자 정의 자료형

  • Class, 구조체


변수

개념 : 특정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

  • Class Loader를 통해, Class, Static 변수나, 메소드에 대한 메모리를 할당함(데이터 영역)
  • new 명령어를 통해 생성된 객체 메모리를 할당함
    (Static이 없을 경우, 객체마다 생성됨)

  • Static이 없을 경우 객체가 관리하며, 객체 생성시 마다 생성됨

  • Static이 붙을 경우 클래스가 관리하며 1번만 생성됨


변수 이름

  • 영문자로 시작
    * 숫자나 특수문자로 불가능
  • 변수 이름은 파악가능 하도록 명사 or 명사 동사와 명사들을 연결하여 사용

선언 방법

접근제한자12 데이터타입 변수이름;


변수 초기화와 선언

  • 값 선언 이후 초기화

​ 변수이름 = 데이터값;

  • 선언과 함께 초기화

    ​ 접근제한자 데이터타입 변수이름 = 데이터값;


void

정의

  • 메소드 반환형으로, 특정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명령문의 집합
  • 반환값이 없는 함수임


Main

  • 프로그램의 시작점
  • string[] args 와 함께 사용


xxxxxxxxxx 접근제한자 class 클래스명{ 반환형 메소드명(매개변수){ … } 자료형 단어;}c#

  • 변수의 자료형이 저장혀려는 값의 형과 다를 경우 사용됨
  • float형에서 int형으로 전환과 같이, 크기가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 시 값이 짤릴 수 있음
  • 사용 예시) int a = (int)b;


상수

  • 값을 변경이 불가능한 메모리 공간
  • 선언될 때 초기화 되어야 함
  • 사용 방법: 접근제한자 const 자료형 변수명 = 값;

  1. private, public, protected, internal이 존재하며 생략 시 private이 디폴트 값 ↩ 

  2. private: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,
    public: 외부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,
    protected: 상속된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함,
    internal: 선언된 어셈블리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함 
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